픽미업 이용안내(How It Works)
매력적인 포트폴리오의 그(그녀)와 (직)거래하세요

디자인
웹-모바일개발
프로그래밍
마케팅-콘텐츠
글쓰기
통/번역
컨설팅/전문자격
레슨
행사-교육-코칭
기타
프로젝트 외주 전담 팀 인피즈 입니다. 100% 재택으로 운영되는 재택 전담팀입니다. 저희팀은 모든프로젝트에 내부검수를 두어 고품질 작업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저희팀은 10년넘게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입증된 성공 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저희팀은 클라이언트의 마감일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그것을 맞추기 위해 팀 인원을 편성합니다. 자체적으로 100명이상 즉시 투입가능한 인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더 많은 인원이 필요할 경우 자체적으로 인원을 추가모집하여 최대한 클라이언트의 마감일에 맞출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저희팀은 10년이상 꾸준히 함께해온 팀원들의 경험치와 그들과의 지속적인 유대관계에 대해 자부심을 느낍니다. 재택업무의 특성상 쉽게 포기하는 작업자와 급여정산에 있어 깔끔하지 못한 업체간에 불신이 많은 생태계에서 10년넘게 유지될수 있었던 것은 서로간에 믿음과 신뢰가 바탕이 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됩니다. 뿐만아니라 클라이언트와도 약속도 철저히 지킴으로써 그 신뢰를 바탕으로 매년 꾸준히 발생하는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계약을 맺고 이행할 수 있었습니다. 저희가 못하는 일이라면 못한다고 말씀드립니다. 일에 욕심이 나서 섣불리 맡아 클라이언트에게 피해가 가게 하는 일은 절대 하지 않습니다. DB구축사업을 시작으로 AI 데이터라벨링이나 번역, 자막입력등 재택을 통해 오프라인보다 더 효율을 낼 수 있는 프로젝트들을 찾아서 저희를 홍보하고 설득을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더 좋은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습니다. 코로나 발생이후 재택의 중요성과 필요성은 더 가시화되고 있고, 재택운용의 어려움때문에 생각만 있고 실천하기 꺼려하셨던 많은 클라이언트분들도 반신반의로 저희에게 맡기시면 이후 계속적인 협력을 요청하고 계십니다. 다수의 인원을 온라인으로만 관리하기에 복잡하고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인원만 많이 충원하고 결과물은 제대로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런 불확실성과 번거로움은 버리시고 저희에게 맡겨주세요. 다년간의 재택인원 관리 노하우로 재택효율을 100%이상 뽑아낼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진행시 초반에는 지침이나 작업을 숙지하기 위해 결과물이 적을 수 있습니다. 그 이후 서서히 올라가는 상승곡선을 타게 되는데 어느정도 숙달된 인원이 중간에 이탈하게 되면 다시 새로 인원을 충원하고 또 숙달되기까지 기간이 걸리고 이를 반복하게 되면 프로젝트를 망칠수도 있습니다. 저희팀은 다수의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험많은 팀원들을 보유하고 있고 그들이 1년 365일 항시 대기중이기때문에 비슷한 프로젝트라면 숙달될때까지 기한이 얼마 걸리지 않아 초반부터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탈자도 없기때문에 그대로 끝까지 상승곡선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물론 프로젝트 규모가 큰 것만 해당되지 않습니다. 적은규모의 소수인원만 필요한 일이라면 해당업무에 가장 잘 어울리는 팀원을 선별하여 진행하기때문에 오히려 더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저희 팀원을 포함해서 재택인원들 대부분이 자기분야에서 맡은바 일을 성실히 수행하시면서 N잡을 하시거나 육아나 정년퇴임 등 각자의 이유로 인해 전업을 못하고 계신분들이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성은 그대로 가지고 계신분들입니다. 재택에 필요한 기초적인 컴퓨터활용능력은 당연하고 영어, 일본어, 중국어 등 다양한 외국어 실력이나 포토샵같은 디자인, 편집-자막 프로그램등의 경험까지 보유하고 계신 분들도 상당수 있습니다. 그에대한 재택이 없어서 단순작업위주로 하고계실 뿐이지 필요하다면 다시 실력을 뽐내실수 있는 분들이지요. 프로젝트를 처리할 전문적이고 경험이 풍부하며 신뢰할 수 있는 팀을 찾고 있다면 저희 프로젝트 팀 외에는 찾아볼 필요가 없습니다. 저희는 귀하의 기대를 능가하고 귀하의 기대를 뛰어넘는 결과를 제공할 능력이 있다고 확신합니다. 귀하의 목표 달성을 어떻게 도울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려면 지금 저희에게 연락해주세요. 프로젝트의 전체 또는 일부만 맡기셔도 되고 난이도나 기한에 따라 단가선정부터 지급방식까지 모든것에 대해 협의하실 수 있습니다.
기타 기타
재택전문 프로젝트 팀
참여요청
[문서, 출판 번역] < Otwojob, 5년 2018.02.10.~ 현재 > https://www.saramingig.co.kr/profile/132899 - Edbro : Accident investigation guide - 4IND co., Ltd. 관련 내용 - R&D - Cosmetic 제품 설명서 및 팜플렛 - 이력서 - 동화 발췌본 - 자동차 부품 번역 -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사회복지 센터, 편지 번역 < Youtube 영상 자막 번역 > - 요리 영상 - vlog - '하나블리' 영상 일부 - 밴드 소개 영상 - 기업 미팅 영상(Subtitle Edit 사용) - 컴퓨터 프로그래밍 강의 영상(Python) < TED 번역봉사 2022.05.06.~ 현재 > - ‘Sustainability... Is This the Key?’ - 'Goal Setting is as Easy as 0+1=3’ - ‘Narrating Pain’ < 국제번역통역협회 > - 과세 증명서 - 성적표 < 클라이밍 코리아, 5개월 2022.07.01 ~ 11.30 > 통역 & 사무(무역 자재 계획) 업무 병행 암벽화 용어, 자재, 제조 과정, 등 설명 < 트랜스메이트 프리랜서 번역가 등록 2022.12.20 ~ 2023.12.20 > - 개두술 후 통증에 관한 논문 초록 번역 - '족발야시장' 브랜드 정보 - 와인 회사 이력서 번역 - 영상 자막 'Fall in 서울 1화 - 서울의 매력에 흠뻑 빠진 민니와 우기' x 서울시 <Translation Without Border, 국경없는 번역가 등록, 2022.12.27 ~ > - < Community management - 영-한 번역, 2023.01.09 ~ > - 일상 회화 문장 번역 < 한국어를 배우는 학생을 위한, 한국어 대화 문장 만들기, 2023.01.07 > - link : https://easykorean24.com/about/
통/번역 영어
섬세하고 꼼꼼한 통번역가
참여요청
일본어와 일본어 번역에 익숙한 이유와 경험입니다. 1. 현재 일본어 시험을 따로 준비하진 않지만 일본어 자체는 놓지 않고 있습니다. 2015년 여름에 JLPT 1급을 따고 나서 일본어시험을 치르지 않았지만, 시험을 준비하지 않는 중에도 일본어를 꾸준히 듣고, 일본 관련 매체(드라마, 뉴스 등)를 종종 보고 있으며, 한국어 영상 자막을 봤을 때나 설명같은 걸 볼때 수시로 속으로 일본어로 번역해보기도 합니다. 그리고 저 스스로 여러 매체와 수단을 통해 자연스럽게 보고 듣고 이해하고 쓰는 부분의 감각을 살려두었습니다. 2. 최근엔 잘 읽지 않으나, 일본어 원문 소설을 몇 권 읽어본 적이 있고, 여러 일본관련 매체의 글에 익숙합니다. 시간을 달리는 소녀, 1Q84 1권, 1Q84 2권(초반부까지), 이웃집 토토로, 열정과 냉정사이(중간까지) 등이 있으며, 글 형태로는 바로 밑에 쓰인 일본어로 번역된 외국서적, 일본어로 된 소개글(관광지나 상품에 쓰여있는 것들), 뉴스, 일본어 지원하는 게임 등으로도 많이 보고 있습니다. 일본어 기초/초급을 공부할 때 일본 노래의 가사를 사전 찾아가면서 번역해보거나, 다른 사람이 어떻게 했는지 찾아본 적도 있습니다. 3. 현재 일본어로 번역된 외국문학서적을 번역하고 있습니다. 아직 책을 낸 적은 없지만, 현재 총 몇 백 쪽에 이르는 양을 번역 해 두었습니다.(그림도 거의 없고 글씨 크기가 그렇게 크지 않습니다, 아직은 준비중인 작품이라 어떤 작가의 어떤 작품인지는 밝히기 어렵습니다.) 이 과정에서 아주 가끔이긴 하지만 사전에도 나오지 않는 단어를 몇 번 찾아본 적도 있고(못 찾았을 경우엔 일어원문 그대로 쓰거나 잠시 미뤄둡니다. 다른 부분도 번역을 해야 하니까요.), 원문 그대로 해석했을 때 어색한 부분을 좀 더 매끄럽게 의역하는 것도 종종 겪어봤습니다. 한번 번역하고 끝이 아니라 두 세번 정도 하루에 번역한 범위의 글을 확인하고 다듬습니다. 4. 제가 직접 만들고 완성한 게임 안의 모든 글자(UI포함)를 전부 일본어로 적용시킨 적이 있습니다. 한글 프로그램 기본 여백 기준으로 각각 20쪽 정도 되는 분량(총 약 40쪽)의 한국어 대사+설명을 전부 일본어로도 적용시켰습니다. (게임을 2019년과 2020년에 각각 하나씩 해서 2개 만들었는데 둘 다 이렇게 적용 했습니다.) 대사를 쓸 때 의미 전달, 현지화(같은 단어이지만 한국어 의미와 다르게 쓰이는 것을 고치는 것), 캐릭터의 의사표현은 확실히 하되, 너무 어렵지 않고 쉽게 알 만한 단어나 문장으로 썼습니다. 대사 이외에도 게임 내 세계관에 대한 정리도 몇 년에 걸쳐서 다듬어서 최대한 자연스럽게 캐릭터나 세계관 설정을 해놓았습니다. 5. 게임의 내용들(소개글, 대사, 자막 등...)을 일본어로도 자주 읽습니다. 평소에 게임을 할 때, 일본어가 지원되는 게임을 할 때 가능하면 일본어로도 보는 편입니다. 대사의 양이 많은 편이어도 일본어만으로도 충분히 해석이 되며, 어느 정도 게임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시로 동방프로젝트 원작 전체+외전작품 다수+2차 창작 게임[폰+컴퓨터]들 전부 일본어로 보고 즐깁니다. 대사가 많은 언더테일도 일본어 판으로 대사나 묘사된 내용을 읽어보며 여러 루트를 클리어 했습니다.) 6. 매끄러운 번역을 위해 한국어를 따로 공부합니다. 저는 어느 나라말이든 모국어라고 해서 반드시 잘 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일상 속에서 쓰는 모국어는 전체에 비해 상당히 제한된 범위안에 있으며, 비슷한 뜻의 단어도 존재하고, 각 언어권마다 따로 문화도 가지고 있으며, 맞춤법이 있기 때문에 잘 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공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평소에 글을 쓸 때 글을 더 매끄럽게 하고, 더 알기쉽게 하도록 고민하면서 씁니다.
통/번역 일본어
일어 게임, 책등 번역합니다
참여요청
*번역하는미어캣은 원문 비밀 유지 의무를 포함하는 번역가 수칙을 준수합니다. 원문 보호를 위해 이미지 일부는 모자이크됩니다. 영미권의 법률 문서를 번역하다 보면 "Without prejudice"라는 문구를 보게 됩니다. 직역하면 그 의미는 "편견 없이" 와 비슷해집니다. 편견이 없다는 말을 왜 굳이 법률 문서에 포함시키는 것일까요? 영미권에서는 이를 "Without Prejudice(WP)" principle, 즉 WP 원칙이라고 부릅니다. 이 문구가 쓰여있다는 것은, 향후 법정에서의 소송으로 이어지더라도, 해당 문서가 증거로 사용될 수는 없다는 의미입니다. 대체 언제 이러한 고지를 할 필요가 생길까요? 예를 들어 A가 B에게 100만원을 받을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며, 둘 사이에 분쟁이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때, B는 A에게 이러저러한 이유를 설명하며, 80만원으로 합의를 보자는 '제안'을 '편견 없는(Without prejudice)' 서신을 통해 전달합니다. 이 경우 WP원칙이 적용되기 때문에, 만약 이 문제가 법정에 가게 되더라도 A는 판사에게 해당 서신을 제출하면서 B가 자신에게 이러한 제안을 해왔다며 B의 약점을 잡을 수 없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B 또한 자기가 보낸 서신을 가지고 자신의 채무는 원래 80만원이었다고 주장할 수도 없습니다. 즉, 두 법적 주체간에 상업적인 분쟁이 있고 이를 원만하게 해결하려는 의지가 서로 있을 때, 내가 하는 제안은 분쟁 해결을 위한 '제안'일 뿐이며, 내가 이러한 진술이나 당신의 답변을 가지고 법정에서 꼬투리를 잡으려 한다는 '편견'을 갖고 읽지 말아달라는 의미가 됩니다. 따라서 이 표현은 분쟁이 있는 두 주체의 사이가 아직 완전히 틀어지지는 않은 상황에서, 법정에 가지 않고 서로의 오해를 풀고 사안을 원만하게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을 할 때 사용됩니다. 그렇다면 한국어로 번역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번역은 언어의 '변환'이 아닌 '다시 쓰기'의 과정이고, 어떤 경우에든 번역에 정해진 답은 없습니다. 다만 WP원칙은 한국에 대응하는 기존의 표현이 따로 있지는 않은 것으로 알고 있고, "편견 없이" 라고 직역해서 사용한다면 그 의미를 제대로 전달할 수 없을 것입니다. 저의 경우에는 해당 표현이 사용된 목적을 살려서, "이 서신의 내용은 분쟁의 원만한 해결을 목적으로 하며, 법정에서의 근거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라는 고지사항으로 대체했습니다. 보다 좋은 번역이 있거나, 기존의 법조문 번역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표현을 알고계신다면,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큰 도움이 됩니다. 저의 첫 포스팅은 여기까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통/번역 영어
번역 관련 정보 포스트
참여요청
마음에 드는 포트폴리오를 열람하시고
[내 프로젝트에 참여요청] 하세요